FC 이마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이마바리는 1976년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2024년 J3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J2리그로 승격되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에히메 FC의 2군 구단으로 운영되었으며, 2014년 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오카다 다케시가 구단을 인수했다. 2016년 J리그 100년 구상에 참여했으며, 2019년 JFL 3위를 기록하며 J3리그로 승격, 2025년 J2리그에 참가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히메현의 축구단 - 에히메 FC
에히메 FC는 1970년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2006년 J2리그에 승격하여 시코쿠 지방 최초의 J리그 클럽이 되었고, 2023년 J3리그 우승으로 J2리그에 복귀했으며, 오렌지색과 검은색을 상징색으로 사용한다. - 일본 풋볼 리그 구단 - 고치 유나이티드 SC
고치 유나이티드 SC는 고치농업고등학교 OB클럽에서 시작하여 팀명 변경과 통합을 거쳐 시코쿠 리그에서 JFL로 진출, 2024년 J3리그 승격을 확정지은 일본의 축구 클럽이다. - 일본 풋볼 리그 구단 - 브리오베카 우라야스
브리오베카 우라야스는 1989년 창단되어 켈트 신화와 지역 특산물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지바현 우라야스시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JFL 복귀 후 2024년 이치카와시를 연고지에 추가하여 J리그 진출을 목표하고 있다.
FC 이마바리 | |
---|---|
기본 정보 | |
![]() | |
구단 이름 | FC 이마바리 |
원어 이름 | FC今治 |
창단 | 1976년 |
홈 경기장 | 아식스 사토야마 스타디움 |
경기장 위치 | 에히메현이마바리시 |
수용 인원 | 5,316명 |
회장 | 오카다 다케시 |
감독 | 쿠라이시 케이지 |
리그 | 일본 프로 축구 리그 |
현재 시즌 | 2024 |
현재 순위 | 2위 |
웹사이트 | FC 이마바리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파란색 노란색 흰색 |
유니폼 | |
홈 유니폼 | 상의: 파란색 하의: 파란색 양말: 파란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클럽 정보 | |
법인명 | 주식회사 이마바리.유메스포츠 |
영문 법인명 | Imabari. Yume Sports Inc. |
회사 설립일 | 2002년 5월 29일 |
사업 내용 | 스포츠 클럽, 스포츠 시설, 문화 시설 운영 사업 외 |
대표 이사 | 회장 오카다 다케시, 사장 야노 마사후미 |
자본금 | 5,0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매출액 | 10억 4,5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영업 이익 | -4,3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경상 이익 | 1,0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순이익 | 7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순자산 | 17억 5,5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총자산 | 23억 4,500만 엔 (2023년 1월 기준) |
주요 주주 | 오카다 다케시 이마바리 조선 시오레이네츠 BEMAC 닛폰쇼켄 홀딩스 LDH JAPAN 아리가토 서비스 |
주요 자회사 | 주식회사 이마바리.유메 빌리지 |
기타 | |
홈타운 | 에히메현이마바리시 |
클럽 라이선스 | J2 |
회계 감사인 | 딜로이트 토마츠 그룹 |
2. 역사
FC 이마바리는 1976년 창단되어, 2001년 시코쿠 축구 리그로 승격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에히메 FC의 2군 팀인 '에히메 FC 시마나미'로 운영되기도 했다. 2014년에는 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인 오카다 다케시가 구단을 인수하면서 큰 변화를 맞이했다.[1]
2016년 2월, FC 이마바리는 일본 축구 협회의 J리그 100년 구상에 가입하며 J리그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같은 해 11월,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듬해 일본 풋볼 리그(JFL)로 승격했다. 2017년에는 사쿠라이 축구 경기장을 개장하며 J3리그 참가 자격을 갖추었다.
이후 JFL을 거쳐 2019년 JFL에서 3위를 기록하며 J3리그로 승격하였고, 2024년에는 J2리그로 승격하였다.
2. 1. 창단 초기 (1976년 ~ 2011년)
1976년, 에히메현 오치군 오니시정(현 이마바리시)에서 '''오니시 축구 클럽'''(오니시 SC)이 창단되었다.[18]1991년, 이마바리시와 오치군을 아우르는 지역 밀착형 축구 클럽을 목표로 '''이마오 축구 클럽'''(이마오 FC)으로 이름을 바꾸었고,[18][19] 2004년에는 '''에히메 시마나미 축구 클럽'''(에히메 시마나미 FC)으로 다시 이름을 바꾸었다.[18]
2009년부터 에히메 FC의 아마추어 팀이 되면서, 클럽 이름을 '''에히메 FC 시마나미'''로 변경했다.[20]
2011년에는 시코쿠 리그에서 우승했지만, 제35회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 참가를 포기했다.[21] 고치 신문은 재정 문제로 다음 시즌 활동이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21]
2. 2. FC 이마바리 시대 (2012년 ~ 현재)
FC 이마바리는 1976년 다이니시 축구 클럽으로 창단되었다.[16] 에히메 FC의 하부 조직인 "에히메 FC 시마나미" 시대를 거쳐 2012년부터 FC 이마바리로 클럽명을 변경했다.2014년, 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오카다 다케시가 FC 이마바리의 지분을 인수했다.[1] 2016년 2월에는 J리그 진출을 위해 J리그 100년 비전 클럽으로 인정받았다.[2]
2019년 일본 풋볼 리그(JFL)에서 3위를 차지하며 프로 리그로 승격, J3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3] 2021년에는 J2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2024년, 가이나레 도토리를 꺾고 창단 이후 처음으로 J2리그 승격을 확정지었다.
2. 2. 1. 시코쿠 리그 (2012년 ~ 2016년)
2012년, 에히메 FC에서 독립하면서 클럽명을 '''FC 이마바리'''로 변경했다.[22] 같은 해 천황배 2회전에서 J1의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22]2014년 11월, 오카다 다케시 전 일본 국가대표팀 감독이 주식회사 이마바리・유메스포츠 주식 51%를 인수하며 구단주로 취임했다.[24] 요시타케 히로후미, 오오키 타케시, 마토 쿤히코 등이 팀 스태프로 합류하며 팀 체질 개선에 나섰다.[25]
2015년, 시코쿠 축구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이 시기, 톱팀부터 유소년 팀까지 일관된 축구 철학을 구축하기 위해 '오카다 메소드'를 도입했다. '오카다 메소드'는 공을 소중히 다루는 축구를 지향하며, 기술과 조직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포제션 축구를 추구하는 플레이 모델을 정립하고, 독자적인 훈련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6]
2016년에는 요시타케 히로후미가 감독으로, 오카다 다케시가 대표 겸 최고 메소드 책임자(CMO)로 취임했다. 글로벌 사업부를 신설하고 중국 슈퍼리그의 저장 뤼청과 업무 제휴를 맺었다.[27] 2월 23일, J리그 이사회에서 J리그 100년 구상 클럽으로 승인받았다.[28] 또한 이마바리 스타디움(가칭)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2회전에서 탈락했지만,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016에서 우승하며 일본 풋볼 리그(JFL) 승격의 기쁨을 누렸다.[29] 12월 7일, JFL 이사회에서 2017년부터 JFL 참가가 승인되었다.
2. 2. 2. 일본 풋볼 리그 (2017년 ~ 2019년)
FC 이마바리는 2016년 일본 축구 협회의 J리그 100년 구상에 가입하고,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 우승하며 2017년 일본 풋볼 리그(JFL)로 승격하였다.[29] 2017년에는 사쿠라이 축구 경기장을 개장하여 J3리그 참가 자격을 갖추었다.JFL 첫 시즌인 2017년에는 리그 6위를 기록하고 J3리그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2018년에는 리그 5위를 기록하며 J3리그 승격에는 실패했다. 2019년에는 리그 3위를 기록하여 J3리그 승격 조건을 충족했고, J리그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J3리그 가입이 확정되었다.[3]
2. 2. 3. J3 리그 (2020년 ~ 2024년)
FC 이마바리는 2019년 JFL에서 3위를 차지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J3로 승격되었다.[3] 2021년에는 J2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승격 조건을 갖추게 되었다.2024년 11월 10일, FC 이마바리는 36라운드에서 가이나레 도토리를 5-0으로 꺾고 3부 리그 5년 만에 J2리그로 승격을 확정지었다. 이는 구단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2025년
V·파렌 나가사키의 감독을 역임했던 쿠라이시 케이지(倉石圭二)가 감독으로 취임했다.[57]
2. 2. 4. J2 리그 (2025년 ~ )
2024년 11월 10일, FC 이마바리는 36라운드에서 가이나레 도토리를 0-5로 꺾고 3부 리그 5년 만에 J2리그로 승격을 확정지었다. 이는 구단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3]2025년에는 V・파렌 나가사키의 감독을 역임했던 쿠라이시 케이지(倉石圭二)가 감독으로 취임했다.[57] 계약 만료로 마스다 류가(桝田凌我), 후타미 히로시(二見宏志), 쿠스미 케이시(楠美圭史), 사카노 토요후미(阪野豊史), 타카세 타이세이(髙瀨太聖), 안젤로티, 토마스 모스키온(トーマス・モスキオン), 세란테스, 마츠이 하루키(松井治輝), 타키모토 하루히코(滝本晴彦) 등이 팀을 떠났다. 시라이 타츠야가 반라레 하치노헤(ヴァンラーレ八戸)로 이적했고, 오자와 아키토(小澤章人)의 임대 기간이 만료되었다. 마츠모토 유마(松本雄真)가 테게바자로 미야자키(テゲバジャーロ宮崎)로 완전 이적했으며, 슈교우 토모히토(修行智仁)는 현역에서 은퇴했다.
3. 경기장
FC 이마바리는 2017년부터 아리가토 서비스 드림 스타디움을, 2023년부터는 아식스 사토야마 스타디움(ASICS Satoyama Stadium)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3. 1. 아리가토 서비스 드림 스타디움 (2017년 ~ 2022년)
FC 이마바리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아리가토 서비스 드림 스타디움에서 J3리그 경기를 치렀다.[1] 2022년 11월 13일 33라운드 AC 나가노 파르세이루와의 경기는 이 구장에서의 마지막 리그 경기였으며, 3-3 무승부로 끝났다.[1]3. 2. 아식스 사토야마 스타디움 (2023년 ~ )
2023년부터 이마바리는 새로 건설된 아식스 사토야마 스타디움(ASICS Satoyama Stadium)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23년 1월 29일에 개장식이 열렸으며,[4] 같은 날 J리그 레전드 팀과 FC 이마바리 U-18 및 여자팀 간의 자선 경기를 통해 사토야마 스타디움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3월 5일, FC 이마바리는 J3리그에서 후쿠시마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새 구장에서 시즌 첫 경기를 치렀고, 1-0으로 승리했다.4. 역대 성적
리그 | J리그컵 | 천황배 | 사회인 컵 | ||||||||||||
---|---|---|---|---|---|---|---|---|---|---|---|---|---|---|---|
시즌 | 디비전 | 티어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평균 관중 수 | |||
2011년 | 시코쿠 리그 | 4 | 1위 | 14 | 13 | 1 | 0 | 52 | 4 | 48 | 34 | 자격 없음 | 1차전 | 3위 | |
2012년 | 1위 | 14 | 11 | 2 | 1 | 44 | 10 | 34 | 34 | 3차전 | 1차전 | ||||
2013년 | 1위 | 14 | 13 | 1 | 0 | 72 | 7 | 65 | 40 | 2차전 | 1차전 | ||||
2014년 | 5 | 3위 | 14 | 11 | 1 | 2 | 78 | 16 | 62 | 34 | 1차전 | 불참 | |||
2015년 | 1위 | 14 | 12 | 1 | 1 | 58 | 5 | 53 | 37 | 1차전 | 2차전 | ||||
2016년 | 1위 | 14 | 13 | 0 | 1 | 54 | 7 | 47 | 39 | 1차전 | 2차전 | ||||
2017년 | JFL | 4 | 6위 | 30 | 12 | 12 | 6 | 54 | 36 | 18 | 48 | 2,182 | 2차전 | 자격 없음 | |
2018년 | 5위 | 30 | 14 | 7 | 9 | 63 | 32 | 31 | 49 | 3,081 | 2차전 | ||||
2019년 | 3위 | 30 | 13 | 12 | 5 | 41 | 26 | 15 | 51 | 3,101 | 예선 탈락 | ||||
2020년 | J3 | 3 | 7위 | 34 | 15 | 10 | 9 | 39 | 27 | 12 | 55 | 1,355 | |||
2021년 | 11위 | 28 | 7 | 9 | 12 | 34 | 33 | 1 | 30 | 1,660 | 2차전 | ||||
2022년 | 5위 | 34 | 18 | 6 | 10 | 55 | 40 | 15 | 60 | 2,320 | 1차전 | ||||
2023년 | 4위 | 38 | 16 | 11 | 11 | 54 | 42 | 12 | 59 | 3,711 | 2차전 | ||||
2024년 | 2위 | 38 | 22 | 7 | 9 | 62 | 38 | 24 | 73 | 3,786 | 2차전 | 1차전 | |||
2025년 | J2 | 2 | 미정 | 38 | 미정 | 미정 |
2020년과 2021년 시즌은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관중 수가 감소했다.[1]
- '''순위''': 리그 순위
- '''경기''': 경기 수
- '''승''': 승리
- '''무''': 무승부
- '''패''': 패배
- '''득점''': 득점
- '''실점''': 실점
- '''득실차''': 득실차
- '''승점''': 획득 승점
- '''평균 관중 수''': 평균 홈 경기 관중 수
5. 수상
wikitext
수상 내역 | 횟수 | 연도 |
---|---|---|
시코쿠 축구 리그 | 5 | 2011, 2012, 2013, 2015, 2016 |
지역 리그 승격 시리즈 | 1 | 2016 |
5. 1. 팀 수상
수상 내역 | 횟수 | 연도 |
---|---|---|
시코쿠 축구 리그 | 5 | 2011, 2012, 2013, 2015, 2016 |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 1 | 2016 |
에히메현 축구 선수권 대회 (천황배 에히메현 예선) | 11 |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21 |
5. 2. 개인 수상
연도 | 대회 | 수상 | 이름 |
---|---|---|---|
2018 | 일본풋볼리그 | 베스트 일레븐 | 아리마 준 |
2019 | 일본풋볼리그 | 베스트 일레븐 | 코마노 유이치, 소노다 타쿠야 |
2023 | J3리그 | 베스트 일레븐 | 쇼야마 하야토,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
2024 | J3리그 | 득점왕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19득점) |
6. 선수
FC 이마바리는 현재 선수 명단과 임대 선수를 두고 있다.[5]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7월 12일 기준[5]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슈교 토모히토 | JPN |
2 | DF | 가토 테츠야 | JPN |
3 | DF | 후쿠모리 나오야 | JPN |
4 | DF | 이치하라 료타 | JPN |
5 | DF | 시라이 타츠야 | JPN |
6 | MF | 토마스 모시온 | ARG |
7 | MF | 야마다 타카후미 | JPN |
8 | DF | 노구치 와타루 | JPN |
9 | MF | 콘도 타카토라 | JPN |
10 | FW | 마르쿠스 인디오 | BRA |
11 | FW | 사카노 토요후미 | JPN |
13 | FW | 타카세 타이세이 | JPN |
14 | MF | 유바 켄신 | JPN |
15 | DF | 아베 료타 | JPN |
16 | GK | 타키모토 하루히코 | JPN |
17 | FW | 웨슬리 탱크 | BRA |
18 | MF | 아라이 히카루 | JPN |
20 | MF | 사토 리키 | JPN |
21 | FW | 히노 토모키 | JPN |
22 | DF | 사이타이 유토 | JPN |
24 | DF | 타케우치 유리 | JPN |
25 | MF | 쿠스미 케이시 | JPN |
26 | DF | 후타미 히로시 | JPN |
29 | FW | 로드리고 안젤로티 | BRA |
31 | GK | 존 안데르 세란테스 | ESP |
33 | GK | 오자와 아키히토 | JPN |
36 | MF | 요코야마 유메키 | JPN |
37 | DF | 우메키 레이 | JPN |
38 | MF | 우마코시 히카루 | JPN |
44 | GK | 이토 겐타 | JPN |
50 | MF | 미카도 유타 | JPN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비고 |
---|---|---|---|---|
23 | DF | 마쓰모토 유마 | JPN |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
28 | MF | 마쓰이 하루키 | JPN | FC 마루야스 오카자키 |
- | FW | 마스다 료가 | JPN | 후쿠야마 시티 FC |
6. 2. 임대 선수
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임대 구단 |
---|---|---|---|---|
23 | DF | 마쓰모토 유마 |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 |
28 | MF | 마쓰이 하루키 | 마루야스 오카자키 | |
FW | 마스다 료가 | 후쿠야마 시티 |
7.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스포츠 디렉터 | 小原 昇悟|고바라 쇼고일본어 |
감독 | 服部 年宏|하토리 도시히로일본어 |
수석 코치 | 窪山 義清|구보야마 요시키요일본어 |
1군 코치 | 渡邊 隆正|와타나베 다카마사일본어 |
골키퍼 코치 | 水谷 雄一|미즈타니 유이치일본어 |
데이터 분석 | 野本 耕平|노모토 고헤이일본어 |
피지컬 코치 | 牧野 大輝|마키노 다이키일본어 |
수석 트레이너 | 岸本 拓也|기시모토 다쿠야일본어 |
트레이너 | 小西 亮輔|고니시 료스케일본어 酒井 卓|사카이 스구루일본어 |
담당자 | 篠原 さつき|시노하라 사쓰키일본어 |
사무 담당 | 田中 遼|다나카 료일본어 |
통역 | 이 다이치 가시와기|이 다이치 가시와기한국어 |
단장 | 小山 哲司|고야마 데쓰지일본어 |
스카우트 | 工藤 直人|구도 나오토일본어 |
강화 담당 | 中野 圭|나카노 게이일본어 |
피지컬 어드바이저 | 前花 正也|사키하나 마사야일본어 |
영양사 | 川浪 心|가와나미 고코로일본어 |
팀 고문 | ラモス 瑠偉|루이 라모스pt |
팀 닥터 | 森 隆英|모리 다카히사일본어 永野 陽二|나가노 요지일본어 藤井 裕子|후지이 유코일본어 今岡 大也|이마오카 히로야일본어 |
8. 역대 감독
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
기무라 다카히로 | 木村 孝洋|기무라 다카히로일본어 | 2012년 2월 1일 ~ 2016년 1월 31일 |
요시타케 히로후미 | 吉武 博文|요시타케 히로후미일본어 | 2016년 2월 1일 ~ 2018년 6월 27일 |
구도 나오토 | 工藤 直人|구도 나오토일본어 | 2018년 6월 27일 ~ 2019년 1월 31일 |
오노 다케시 | 小野 剛|오노 다케시일본어 | 2019년 2월 1일 ~ 2020년 1월 31일 |
류이스 플라나구마 | Lluís Planagumà|류이스 플라나구마es | 2020년 2월 1일 ~ 2021년 5월 19일 |
하시카와 카즈아키 | 橋川 和晃|하시카와 가즈아키일본어 | 2021년 5월 19일 ~ 2021년 5월 23일 |
누노 게이치로 | 布 啓一郎|누노 게이치로일본어 | 2021년 5월 24일 ~ 2021년 9월 29일[6] |
하시카와 카즈아키 | 橋川 和晃|하시카와 가즈아키일본어 | 2021년 9월 29일[7] ~ 2023년 1월 31일 |
다카기 리키 | 髙木 理己|다카기 리키일본어 | 2023년 2월 1일[8] ~ 2023년 8월 16일 |
구도 나오토 | 工藤 直人|구도 나오토일본어 | 2023년 8월 16일[9] ~ 2024년 1월 31일 |
핫토리 도시히로 | 服部 年宏|핫토리 도시히로일본어 | 2024년 2월 1일 ~ 2025년 1월 31일 |
구라이시 케이지 | 倉石 圭二|구라이시 게이지일본어 | 2025년 2월 1일 ~ 현재 |
9. 유니폼
FC 이마바리의 유니폼은 파랑, 노랑, 흰색을 기본 색상으로 사용한다.[10] 2015년 유니폼은 LDH의 의류 브랜드 "24karats"가 전면 협력하여 제작했다.[58] 2016년에는 LDH와 협의하여 아디다스로 공급 업체를 변경했으며,[58] 디자인은 LDH 소속 GENERATIONS, EXILE 멤버인 시라하마 아란이 맡았다.
9. 1. 유니폼 변천사
홈 유니폼 | |
---|---|
-- | -- |
-- | -- |
-- | -- |
원정 유니폼 | |
---|---|
-- | -- |
-- | -- |
-- | -- |
2015년 유니폼은 LDH의 의류 브랜드 "24karats"가 제작에 전면적으로 협력했다.[58] 2016년에는 LDH와 협의하여 아디다스로 유니폼 공급업체를 변경했으며,[58] 디자인은 LDH 소속 GENERATIONS, EXILE 멤버인 시라하마 아란이 담당했다.
년도 | 위치 | 공급업체 | |||||||
---|---|---|---|---|---|---|---|---|---|
가슴 | 쇄골 왼쪽 | 쇄골 오른쪽 | 등 상부 | 등 하부 | 소매 | 바지 앞면 | 바지 뒷면 | ||
2008 | 아리가토 그룹 | 공개 전 | 토리이치 | 공개 전 | - | 공개 전 | 아식스(asics) | ||
2009 | 아리가토 | 이마바리 철강센터 | {{lang | 후지 | |||||
2010 | |||||||||
2011 | |||||||||
2012 | 이마바리 타월 재팬 | ||||||||
- | – | ||||||||
2014 | 르 쌩 | ||||||||
2015 | 딜로이트. | {{lang | DREAM AS ONE. 미쓰비시 상사 | 아리가토 서비스 | 24카라츠 | ||||
2016 | 아디다스(adidas) | ||||||||
2017 | 히카리TV4K | ||||||||
2018 | – | ||||||||
2019 | 히카리TV4K | 리프로덕션 클리닉 | 자이맥스 {{lang | ||||||
2020 | 유니참 {{lang | ||||||||
2021 | 히카리TV | 미쓰비시 상사 | 일본 M&A센터 | ||||||
2022 | 딜로이트. | ||||||||
2023 | 스타보드 | ||||||||
2024 | 유니참 {{lang |
9. 2. 유니폼 스폰서
Love Your Possibilities영어Clinic
자이맥스일본어
Mitsubishi Corporation" 표기